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월세 상한제/전월세 신고제 등 탄력받는 부동산 정책

 

안녕하세요. "중개의 신"입니다.

오늘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중 하나인 전월세 상한제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여당이 압승으로 끝남에 따라서 여당의

정책들이 탄력을 받고 있는데요.

그중 전월세 상한제와 전월세 신고제 등이 있습니다.

 

전월세 상한제는 임차인의 이익을 위한 제도로 취지나 내용은

좋지만 실제로 도입이 된다면 전세금을 올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대 4년 동안 5% 이상 전월세를 올릴 수 없지만 신규 세입자에 대해서는

규제가 없기 때문에 전세금의 과도한 상승이 있을 거라 예상할 수

있어요~~

전월세 상한제와 같이 추진되고 있는 전월세 신고 제도도 같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에 매매 시에만 있었던 거래 신고가 모든 전월세 거래까지

확대되면서 세입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계약을 맺을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그동안 임대 소득세를 내지 않았던 집주인은 전월세 내용의

공개로 세금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답니다.

만약 정책이 통과가 된다면 앞으로 오히려 전세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세입자 입장에서도 2년 뒤의 안정보다는 4년 뒤의 불안감을

안을 수밖에 없다는 비판 전인 시각도 다수 있습니다.

물론 정책에 따르는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확실한 건 나라에서

세금은 확실히 부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겠네요...